본문 바로가기
건강 알쓸신잡

전자담배

by berry 2020. 11. 5.

 

전자 담배는 담배를 피우는 느낌을 내도록 고안된 장치이며

일반적으로 담배를 사용하지 않고 일정량의 니코틴을 제공합니다.

 

니코틴

니코틴은 담배를 통해 흡입됩니다.

혈류로 들어가 뇌를 자극합니다.

대부분의 일반 흡연자는 니코틴에 중독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흡연자는 금단증상을 예방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흡연을 합니다.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전자담배가 개발되었습니다.

 

 

전자 담배에 대하여

전자담배는 담배처럼 보이고 흡연시 담배처럼 느껴지도록 설계된 배터리 구동장치입니다.

전자담배는 다양한 모양이나 크기로 출시되지만

기본적으로 증기를 형성하기 위해 가열되는 액체를 위한 저장소로 구성됩니다.

일부는 일회용으로 사용되지만 리필이 가능한 전자담배도 있습니다.

액상에는 일반적으로 니코틴, 향료 및 기타 화학물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액상은 모든 종류의 풍미로 나옵니다.

니코틴에 중독된 사람들을 위해 담배를 피우는 안전한 방법으로 간주됩니다.

전자담배는 2003 년에 중국에서 발명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점점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전자담배에는 액체로 채워진 용기가 있으며

하단에는 작은 배터리가 있습니다.

배터리는 증기를 생성하는 액체를 가열하는 코일에 전원을 공급합니다. 

마우스 피스를 빨아 증기를 흡입할 수 있습니다.

흡입 후에 숨을 내쉬게 되면 수증기가 연기처럼 발생합니다. 

이 수증기로 인해 전자담배를 피우는 것을

Vaping이라고도 합니다.

전자담배는 담배와 유사한 것 외에도 다양한 유형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증기 농도를 제어 할 수있는 가변 전압 배터리가 출시되었습니다.

액상 리필은 별도로 구매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맛으로 출시되고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니코틴이 아닌 액상을 구입하는데,

아마도 그들이 특정한 맛을 좋아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일부 전자담배는 기본 장치에서 가열 코일을 제거한 후

리필 액체를 장치에 직접 떨어뜨리는 방식으로도 출시됩니다.

 이는 인후 뒤쪽에서 더 강렬한 감각이 느껴지며

밀도가 더욱 높은 증기 구름을 생성합니다.

 

영국의 한 조사에 따르면

전자담배를 사용하는 약 280만명의 성인 중 약 130만명이 완전한 금연에 성공했습니다.

처음 전자담배가 출시되었을 때는 한번도 담배를 피웅지 않은

젊은 사람들이 전자담배를 피워본 후

담배를 접하게 될 것에 대한 우려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런 현상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18세 미만의 청소년들이 전자담배를 접하는 경우가 있었지만

정기적으로 전자담배를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었습니다.

전자담배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전자담배를 사용하기 이전에 담배를 피우는 흡연자였습니다.

 

 

현재 증거에 따르면 전자 담배는 담배보다 95 % 더 안전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금연에 도움이되는 다른 형태의

니코틴 대체요법 만큼 효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전자담배는 일반담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대체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전자담배는 금연 프로그램의 일부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전자담배는 니코틴을 포함하여 잠재적으로 유해한 화학물질을 함유하고 있지만

담배에 함유된 유해물질보다는 훨씬 낮은 수준입니다.

따라서 현재 흡연자라면 담배의 포함된 유해물질에 비해 위험성이

낮으므로 담배의 대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주의하셔야 할 점은

아직까지 전자담배의 장기적인 안정성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전자담배가 건강에 미치는 점에 대해서 연구가 계속되고 있지만

결론에 도달하기 까지는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합니다.

 

 

 

금연

흡연은 질병과 조기 사망의 가장 큰 원인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흡연으로 인해 매년 700만 명이 사망합니다. 비 흡연자가 간접 흡연에 노출되어 거의 백만 명이 사망합니다. 모든 흡연자의 절반

berry.nabiyaa.com

 

'건강 알쓸신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연 방법 10가지  (1) 2020.11.09
금연의 이점  (0) 2020.11.05
금연  (2) 2020.11.05
태아 알코올 증후군  (2) 2020.11.04
알코올 의존  (1) 2020.11.0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