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11일은 무슨 날이 떠오르시나요?
11월 11일은 굉장히 많은 기념일이 있습니다.
빼빼로 데이, 해군창설 기념일, 농업인의 날,
유엔참전용사 국제추모의 날, 보행자의 날, 가래떡 데이 등등...
11월 11일이 많은 의미를 상징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 '농업인의 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농업인의 날은 농업의 중요성을 되새기는 법정기념일로
매년 11월 11일로 제정되었습니다.
우리나라는 옛날부터 농사를 중시하는
전통을 가진 농업국가였습니다.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보면
고구려 시대 때부터 농업을 권장하는
권농의식에 대한 기록이 있습니다.
또한 평야가 많은 지역에 위치했던
백제에서도 권농에 대한 기록이 많이 있고
조선시대에도 권농의식을 행했던 왕들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일제강점기에는 6월 14일이 권농일로 제정되었습니다.
일제강점기가 끝나고 해방이 되면서
권농일이 일본인들이 만들었기 때문에
이를 없애고자 폐지여부를 검토하였으나,
권농이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임이 인정되어
일제의 잔재를 청산한다는 의미로
'농민의 날'로 이름을 바꾸고
날짜를 6월 15일로 정했습니다.
이후에 모내기에 적기인 6월 1일을
'권농의 날'로 다시 정했었으나
1973년에는 어민의 날, 권농의 날, 목초의 날을
'권농의 날' 하나로 통합하였습니다.
1996년에는 권농의 날을 폐지한 후에
11월 11일을 '농어업인의 날'로 변경했다가
1997년에 이르러서 비로소
11월 11일 '농업인의 날'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매년 11월 11일이 되면
농림부의 주관하에 각종 농업 기념행사가 이루어 집니다.
농촌과 농업의 발전을 위해 헌신하는
농업인을 찾아 발굴하고 포상하면서
농민들의 의욕을 고취시키는 행사를 합니다.
11월 11일을 농업인의 날로 정한데에는
배경이 있습니다.
농민은 흙에서 나고 흙을 벗 삼아 살아가다가
흙으로 돌아간다는 의미에서
흙 ‘土’자가 겹친 ‘土月土日’을 상정하였고
이를 숫자로 풀어쓰면 11월 11일이 된다는 데 착안하여
제정하게 되었습니다.
또 이 시기는 농민들이 모든 한 해 농사를 마친 후에
쉬면서 즐길 수 있는 시기라는 점과
다음 풍년을 기원하는 적절한 시기임을
고려하여 정하게 되었습니다.
11월 11일에는 빼빼로도 좋지만
우리 민족의 문화와 전통이 깃들어있는
농업인의 날도 기억하며
우리가 배불리 음식을
즐길 수 있는 것들이 모두
농민들의 손에서 나오는 것임에
감사하며 기념하였으면 좋겠습니다.
11월 11일의 또다른 기념일
댓글